오늘은 온라인 개학을 준비하며 학생들과의 원격 소통 방식의 다양한 예를 소개하겠습니다. 많은 선생님들께서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연락을 취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과의 소통이 그리 쉬운 일처럼 보이진 않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선 제가 이용해 보거나 주변 동료 교사분들이 이용하셨던 방법과 유용한 기능을 안내하고 이점과 한계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첫 번째로는 단체 문자가 있습니다. 학교마다 스쿨 문자와 같이 단체 문자를 web상에서 보내지도록 하는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백분 활용하여 학생들의 주소록을 등록하여 단체 문자로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계로는 길어지면 2G 폰, 폴더폰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SMS 문자를 받을 수 없어 누락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80바이트씩 끊어서 전송하기도 하였습니다. 혹은 교사의 개인폰으로도 학생을 대상으로 단체문자를 보내기도 합니다. 이때 활용하면 좋은 방법은 엑셀에서 phonetic이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를 이어 붙여 휴대전화로 전송하여 문자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다만 업무에 교사 개인의 통신 비용이 들어가고, 그 금액이 학생수가 많은 경우 꽤 많이 부과될 수 있다는 부담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이런 문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카카오톡 채팅방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카카오톡을 활용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우선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그냥 일반 교사 개인의 카카오톡 계정에서 단체 카톡방 또는 학생과의 개인 카톡방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점으로는 비상 상황에 연락을 받기에 수월하다는 점입니다. 다만 이는 역으로 한계점도 보이는데, 교사의 업무 외 시간에도 불필요하기도 한 연락이 자신의 개인 휴대전화로 쉬이 올 수 있는 여지를 주는 방식일 수도 있습니다. 이에 또 다른 방법으로는 휴대전화를 두 개를 사용하여 업무폰에서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확실히 교사의 개인 사생활 부분과 업무 부분을 분할할 수 있어 관리하기 깔끔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휴대전화 요금을 두배까지는 아니어도 일정 금액 지출이 된다는 한계점도 있습니다.
이러한 개인 사비 지출의 부담을 덜기 위해 또 다른 대안으로 투넘버 서비스(듀얼넘버)가 있습니다. 하나의 스마트폰 안에서 번호를 두 개 사용하는 방법으로 각 통신사에 신청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투넘버(듀얼넘버)를 받은 경우 스마크폰에는 듀얼넘버에 해당하는 카카오톡 어플, 문자 어플이 새로 생겨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교사의 개인적인 휴대전화의 번호로 업무외 늦은시간의 학생과 학부모의 무리한 연락을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으며 교사와 연락과 학생들의 연락 창구를 구별시켜 운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다만 이것도 휴대전화를 두개 사용하듯이 비용이 든다는 점이 있습니다. 다만 휴대 전화 두 개를 사용하는 비용보단 저렴합니다.
이렇게 휴대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카카오톡과 문자를 이용하여 소통할 수도 있지만 오픈 채팅방 기능을 이용해서도 소통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열어 그 링크를 학생들에게 고지하면 그 링크를 학생들이 타고 들어와서 하나의 채팅방을 꾸릴 수 있습니다. 링크를 통하 카톡방에 들어오며 유저의 이름을 카톡방에 들어올때 설정할 수 있기에 전화번호를 오픈하지 않고도 카카오톡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링크를 해당 학생만 갖고 있다고 단정짓기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결국 원격으로 그 주소를 전달했기에 당사자가 받아 당사자 이름으로 설정하여 들어왔는지 카톡창 내에서 확인할 순 없습니다. 또한 그 오픈채팅방 주소가 해당되는 학생들 제외하고도 다른 해당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과정들을 통해 퍼진것은 아닌지 확신하기가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카카오톡 내에 공지나 게시글과 투표 등 다양한 방식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생들과의 소통에서 유용한 포인트도 몇몇 있습니다. 물 론 전화가 가장 편하지만 개학 이후 학생들을 최대한 면밀히 관리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기에 학생들과 소통하는 방식의 몇 가지 예와 특징을 들어봤습니다. 다음번 포스팅도 유용한 정보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교육, 물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원격 수업 준비하기. 도입 영상, 마무리 영상에 쓰기 좋은 애플리케이션 (0) | 2020.04.09 |
---|---|
온라인 개학 준비하기. 클래스팅과 EBS 온라인 클래스 수업 활용 예시와 안내 (0) | 2020.04.08 |
온라인 개학 대비하기.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강의 만들고 편집하기 (0) | 2020.04.06 |
온라인 개학 대비하는 첫 번째 방법. 동영상 강좌 만들기 (0) | 2020.04.05 |